임신과 분만이 골반에 미치는 영향

임신 때 복부에서 일어나는 해부학적 변화와 허리골반의 수동적 시스템, 능동적 시스템, 그리고 컨트롤 시스템에 대한 힘이나 외상을 고려하면 해부학적이고 기능적인 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임신과 분만중에 이러한 변화들이 골반의 기능과 산모의 내장 기관에는 어떠한 영향을 줄까 알아보자 <차례> 1. 수동적 시스템 2. 능동적 시스템 1)백색선과 복직근이개 2)골반내주의 근막-질 주위와 직장질의 결함 3. 컨트롤 시스템 4. 장기 1. 수동적 시스템 임신 중에는 골반거들의 관절인 천장관절과 치골결합 인대가 느슨해지면서 이완이 일어난다. 임신 중 천장관절의 이완이 증가 되면 골반통 간에는 통계학 적으로 상관 관계가 없다고 하지만 임신 중 천장관절의 비대칭적인 이완과 골반통과는 상관 관계가 있다 하지만 어떤 학자는 임신과 관련한 호르몬 레벨과 관절의 이완 상태와의 상호 연관 관계를 찾지 못했다고 한다 따라서 임심 중 골반관절 이완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모순이 되는 충돌이 일어난다. 또 다른 학자는 관절가동성이 체중의 증가 되고 임신으로 복내압이 증가 되는 시기이므로 관절 가동성이 증가 될 수 있다 고도 한다. 2. 능동적인 시스템 복벽과 허리, 골반저의 근막은 몸통을 통한 하중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복부의 전방 근막, 백색선과 골반 내부의 근막은 임신 기간 이나 분만 할 때 과도한 스트레칭으로 인해 파열이 일어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백색선과 복직근이개 임신 중에 복부의 팽창으로 인해 특별히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이 백색선 이며 결합 조직 복합체는 좌 우측 복근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Rath에 따르면 45세이하 여성의 경우 배꼽과 검상돌기의 중간 지점에서 양 복직근의 사이의 거리는 1cm이하이고,배꼽 바로 위 부분에는 2.7cm이어야 하고,치골결합부와 배꼽의 중간 지점에서는 0.9cm 이어야 한다 이 수치의 폭이 넘어설 때에 진단 되어지는것이 복직근 이개이다 출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