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임신과 분만이 골반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
임신 때 복부에서 일어나는 해부학적 변화와 허리골반의 수동적  시스템, 능동적 시스템, 그리고 컨트롤 시스템에  대한 힘이나 외상을 고려하면 해부학적이고 기능적인 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임신과  분만중에 이러한 변화들이 골반의 기능과 산모의 내장 기관에는 어떠한 영향을 줄까 알아보자 <차례> 1. 수동적 시스템 2. 능동적 시스템   1)백색선과 복직근이개   2)골반내주의 근막-질 주위와 직장질의 결함 3. 컨트롤 시스템 4. 장기 1. 수동적 시스템 임신 중에는 골반거들의 관절인 천장관절과 치골결합 인대가 느슨해지면서 이완이 일어난다. 임신 중  천장관절의 이완이 증가 되면 골반통 간에는 통계학 적으로 상관 관계가 없다고 하지만 임신 중 천장관절의 비대칭적인 이완과 골반통과는 상관 관계가 있다 하지만 어떤 학자는 임신과 관련한 호르몬 레벨과 관절의 이완 상태와의 상호 연관 관계를 찾지 못했다고 한다 따라서 임심 중 골반관절 이완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모순이 되는 충돌이 일어난다. 또 다른 학자는 관절가동성이 체중의 증가 되고 임신으로 복내압이 증가 되는 시기이므로 관절 가동성이 증가 될 수 있다 고도 한다. 2. 능동적인 시스템 복벽과 허리, 골반저의 근막은 몸통을 통한 하중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복부의 전방 근막, 백색선과 골반 내부의 근막은  임신 기간 이나 분만 할 때 과도한 스트레칭으로 인해 파열이 일어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백색선과 복직근이개 임신 중에 복부의 팽창으로  인해 특별히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이 백색선 이며 결합 조직 복합체는 좌 우측 복근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Rath에 따르면 45세이하 여성의 경우 배꼽과 검상돌기의 중간 지점에서 양 복직근의 사이의 거리는 1cm이하이고,배꼽 바로 위 부분에는 2.7cm이어야 하고,치골결합부와 배꼽의 중간 지점에서는 0.9cm 이어야 한다 이 수치의 폭이 넘어설 때에 진단 되어지는것이 복직근 이개이다 출산 ...

손상된 허리 골반-고관절의 복합체의 이해

이미지
아래의 글에서는 허리 골반-고관절 복합체에 관하여 알려진 것을 강조하고 싶다 하중 전달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해 결국 장애,통장,장기탈출,요실금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것이다 요추와 골반거들 그리고 고관절에 나타나는 임상적인 손상 형태를 기술 할 것이다. 1. 요추의 구조적 폐쇄 결손 2. 골반거들의 구조적 폐쇄 결손 3. 고관절의 구조적 폐쇄 결손 4. 요약 1. 요추-구조적 폐쇄 결손 시스템의 질환으로는 유전적인 척추질환, 척추연골염, 감염(화농성 척수 골수염)이 있고 신진 대사성의 질환으로 골 연화증,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Paget`s질환, 확산 특발성 골격 과골화증등이  요추의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하중을 전달할 때 비-최적화된 것은 허리 골반-고관절복합체 관절에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오랜 시간 동안 반복이 되어지면 요추에 구조적 변화를 가져온다 일상생활에서 척추에 가해서 스트레스는 2차적인 구조물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후방 척추돌기관절의 활액막염과 전종인대와 후종인대와 관련된 디스크의 섬유륜의 원주 파열과 캡슐과 황색인대의 파열로 심부의 관절돌기의  연골하 골절이 있을 수 있다 간헐적으로 급성 요통환자가 비-최적화된 전략들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병리해부학적 변화가 진행이 되며 구조적 결손을 가져오며 불안정성을 가져오게 되어진다 해부학적 변화는 몸통을 축 회전을 할때 척추의 상부 관절돌기는 전상 방향으로 아탈골이 일어키게 되어지고 결과적으로 외측함요를 좁히며 추간공 내의 구조물의 기능에 영향을 가게 되어진다. 퇴행성 단계가 3단계가 되어진다면 통증이 사라지지만 가동은 저하되고 불안정성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뼈가 척추관이나 외측함요에 침입을 함으로써 말초부위의 신경적인 문제를 동반된 협착이 생길 수가 있다   2. 골반거들의 구조적인 결손 골반거들이 구조적인 변화를 발생 시키는 원인은 시스템성, 염증성,감염성,신진대사 질환 등이다. 천골의 장골 표면에서 경화변성의 변화는 하중...

허리골반과 고관절의 통합된 정상적임 움직임에 대한 이해

이미지
허리와 골반 고관절의 통합된 움직임에는 신경근 골격계의 조화가 필요하며 몸통과 하지의 최소한의 힘의 지출로 여러 방향을 움직일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1. 전방굴곡 2. 후방굴곡 3. 외측굴곡 4. 쪼그려 앉기 5. 걸어 갈 때의 대퇴골의 움직임 6. 걸어 갈 때의 골반거들의 움직임 7. 걸어 갈 때의 허리의 움직임 1. 전방굴곡 (Forward bending) 전방 굴곡은 무게 중심이 발바닥의 뒷 부분으로 이동해가면서 거퇴관절에서 약간의 족저굴곡이 일어나게 되면서 후방 변위가 일어난다 전방굴곡이 일어나는 동안 흉요추 척주에는 외측굴곡과 회전이 일어나지 않으며 대퇴골두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고관절은 굴곡 되면 대퇴골두는 관골구에 중심을 잡은 체 유지된다 전방굴곡 초기 단계에서는 두 무명골 사이에서 천골은 완전히 전굴이 되어지고 모든 가동 범위에서도 전굴이 유지한 상태가 되어지며, 완전한 기립 상태가 될 때 까지 천골은 전굴 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방 굴곡에서 최적의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허리 커브의 정점이 엉덩이 중간 부위와 일치를 해야 한다 2. 후방굴곡 (Backing bending) 후방굴곡은 무게 중심이 발바닥의 앞부분 으로 이동하면서 거퇴관절의 약간의 족배굴곡이 일어나므로 골반거들의 전방 변위가 일어난다 후방굴곡하는 동안에 대퇴골부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고관절은 신전이 되면서 대퇴골두는 관골구에 중심을 잡은 채 유지를 하게 된다  후방굴곡하는 동안에 무명골 사이에서 골반거들이  전방이나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고 양쪽 무명골은  대퇴골두에서 후방으로 기울어 질 때 같은 거리를 두고 움직임이 일어난다 천골은 상대적으로 전굴을 유지하며 후방굴곡 커브의 정점은 고관절의 장골대퇴 인대와 같은 위치를 이룬다   3.외측굴곡(lateral bending) 외측굴곡은 체중의 중심이  발바닥의 베이스에 오게 되어지며 다리의 윗부분과 골반의 좌측으로 변위 하면서 시작이 되어진다 골반거들이 좌...

골반거들의 형태폐쇄 대한 이해

이미지
골반거들의 형태 폐쇄에 대한 이해 1. 골단거들의 운동학 2. 골반내부의 움직임에 대한 운동학 3. 골반내부 움직임에 대한 운동학(용어) 4. 전단과 병진 움직임에 대한 골반부 내의 제지에 대한 동역학 1. 골반거들의 운동학 골반거들의 움직임은 신체의 3군데의 모든 면에서 일어나며 시상면 에서는 전후방 기울기가 일어나고, 관상면 에서는 측면 기울기, 그리고 횡 단면 에서는 축 회전이 일어난다. 보행시에 이러한 움직임이 함께 일어난다. 2. 골반 내부의 움직임에 운동학 1) 천장관절과 치골 결합부의 움직임이 매우 미미하다고 해도 이 움직임은 일상생활을 통해 일어 나고 있다 천장관절의 경직성은 대상자 간의  차이를 보였고 가동 범위는 잠재적으로 가변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대상자의 천장관절의 경직성은 좌우 대칭성을 보이는 반면 골반거들의 한쪽에 통증이 있는 대상자의 천장관절의 경직성은  비대칭으로 제시되어 있다 체중 부하가 실린 천장관절은 각이나 병진 움직임 모두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고  이 움직임의 진폭은 대상자 간에는 가변적이지만  한 대상자 에게서의 움직임은 좌우 대칭으로  나왔다 천장관절의 진폭은 비체중 부하 자세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2) 치골 결합부의 움직임에서 남성과 여성으로 구성된 두 명의 건강한 대상자를 상대로 탄탈룸 볼을 좌우 치골상부 가지와 좌골결절에 삽입한 후 3차원적 방사선 입체 영상 분석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두 대상자에게 실시한 두 개의 수동적인 테스트를 하는 동안에 마크한 것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치골 결합부는 2mm이하의 수직 병진 움직임이 그리고 관상 축에서는 3도 이하의 회전 움직임이 나타난다는 것을 밝혀냈다. 3. 골반 내부의 움직임에 운동학(용어) 1. 천골이 무명골에서 좌우 양쪽 천장관절에서 대칭적으로 움직 일때 골 운동학 움직임을 전굴과 반전굴 이라한다 1) 천골의 전굴은 천골 돌기가 골반에서 관상 축을 중심으로 골간인대를 통하여 전방으로 ...

복벽을 이루고 있는 근육들에 대한 이해

이미지
복벽을 이루고 있는 근육들의 대한 이해 1.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2.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3.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4. 복직근(Rectus abdominis) 5. 추체근(Pyramidalis) 6. 백색선(Linea alba) 7. 복직근 덮개 1.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복횡근은 복근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다 광범위함 부착점을 가지 이 근육은 몸통을 횡으로 주행하며 상부와 중부 섬유는 복직근을 감싼 근막과 혼합되어 있으면서 건막복합체를 통해 중앙에 있는 백색선에 닿아있다 하부 섬유는 내복사근의 하부 섬유와 함께 서로 결합된 건을 형성하여 서혜 인대와 장골릉에 부착해있다 복횡근의 상부 섬유는 가장 두껍고 수평으로 주행해 있다 중부 섬유는 좀 덜 두꺼우며 하방 내측으로 향하고 그 아래 하부 섬유는 가장 얇고 가장 하방 내측으로 향해 주행한다 상부 영역은 흉곽의 안정화에 더 큰 역할을 하며  중부 영역은 흉요추 근막의 연결부를 통해 요추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하부 영역은 골반의 안정화 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2.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내복사근은 외복사근과 복횡근 사이에 있으며 장골릉 중간 라인의 전방 2/3부위와 서혜인대의 외측 2/3부위, 그리고 흉요추 근막의  외측 봉합선에서 발생한다 내복사근은 L3 이하의 흉요추 근막에 일정하게 부착해 있다 복횡근과 같이 내복사근은 상,중,하의 부위별로 섬유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내복사근의 상부와 중부 부위의 섬유는 상내측으로 향하고 있는 반면 가장 아래에 있는 섬유는 하내측 방향으로 위치해 있다. 내복사근도 부위 별로 그 두께의 차이가 있고 상부 섬유가 하부의 것보다 좀 더 두껍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내복사근이 복횡근 보다 하부 영역에서 좀 더 두꺼웠다, 내복사근은 아래 6개의 흉추와 1개의 요추 신경의 복가지에 의해 신경 공급을 받는다. 3.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복근 ...

천장관절의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

이미지
천장관절의 발달 과정 1. 천장관절의 자궁내의 발달 2. 천장관절의 0세에서 10세 3. 천장관절의 11세에서 30세 4. 천장관절의 31세에서 50세 5. 천장관절의 51세에서 70세 6. 천장관절의 70세이상 7. 성인 천장관절 8. 천장관절의 인대 9. 천장관절의 신경 공급 1. 천장관절의 자궁내의 발달 천장관절의 발달은 자궁 내에서 8주 째의 태아 때부터 시작된다 다른 윤활관절과 마찬가지로 세 겹의 구조로 되어있으며 처음에는 장골과  천골의 늑골 성분 사이의 중배엽에서 나타난다.   장골은 천골과 라인을 이룬 히알린 연골 보다 더 푸르고 흐릿하며 좀 더 줄 무니가 있는 섬유연골 타입과 함께 라인을 두고 있다 상응하는 관절 표면은 젊은 나이 때에는 부드럽고 평평하다는 데에 모두가 동의하며 태아의 골반을 다루면서 관절이 다양한 방향으로 활주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2. 천장관절의 0세에서 10세 천장관절의 표면은 초기 상태의 평평함이 유지되어 있고 아주 강한 인대에 의해 수동적 움직임에 제한이 있다. 관절의 연골은 출생 전과 같이 그대로 남아 있다 3. 천장관절의 11세에서 30세 10대 후반의 천장관절은 평평하게 나타났다 10년대 초기 연령대에서는 천골의 고장에 상응 하게끔 장골 관절 표면이 전체 길이를 따라 볼록한 돌기가 나 있다 장골의 섬유연골성 관절 표면은 더 흐릿하고 더 거칠며  간헐적 으로 섬유성 플라그로 코팅 되어 있다 20대 후반에는 표면 층에 소섬유화가 나타나고 일부 균열이 발생하며 침식이 일어난다 천골 히알린 연골은 노란 색조를 뛰며 이 단계에서 거시적인 변화는 찾아 볼 수 있다 섬유성 캡슐의 콜라겐 함유물이 증가하면서 그것의 확장력이 감소한다 4. 천장관절의 31세에서 50세 관절 표면에 퇴행성이 진행이 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일찍이 일어나며 거의 대부분 비대칭으로 퇴행이 진행이 되어진다 융기부와 홈의 발달과 함께 소 섬유화는 마찰이 증가 시키고  그 결과 천장관절의 움직임이 감사하며 이것...

허리골반과 고관절 복합체의 기능

이미지
➽ 허리 골반 복합체의 안정성은 무엇인가? 허리 골반과 고관절 복합체의 1차적인 기능 은 움직임이 일어날 때 하중을 안전하게 전달하고 어떤 과제를 수행 할 때 근골격계 구조의 손상을 방지하며 각종 장기들의 최적의 호흡과 함께 지지 보호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적의 기능은 트레이닝성과 안정성 모두를 갖추는 것이다. 안정성은 어떠한 시스템을 특성화 하고 평가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콘셉트 중 하나이다 척추가 하중을 받을 때 몸통 주변에 있는 여러 척추 분절과 그 분절의 근육들이 동시에 수축하여 척추가 좌굴요절 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적 안정성을 제공한다는 사실이다 안정성은 평형을 이루고 있는 시스템에서 정적 상태와 마찬가지로 시스템이 어떤 궤도를 따라 움직임이 있는 동적인 상황에서도 정의를 내릴 수 있어야만 한다. 척추 안정화을 위한 모터 컨트롤은 신체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는 감각, 안정성의 요구 사항과 적절한 반응 계획을 해석하기 위한 컨트롤 시스템, 그리고 반응을 실행하기 위한 근육을  가지고 있는 통합 시스템이다 안정성은 많은 근육들이 포함된 고도의 협응 된 근육의 활성화 패턴의 결과이며 활성화 패턴은 지속적으로 변화가 일어나야 하며 과제에 의존해야 한다 ➽ 재고된 기능의 통합 모델 기능의 통합 모델은 골반의 기능과 기능 장애의 부분에 대한 논의 위한 체제에서 시작되었다. ➤형태 폐쇄(요추) 요추는 잠재적으로 12도의 자유도를 가지며 움직임은 축을 따라 순 방향과 역방향, 그리고 축에 세 개의 직각 방향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이 메커니컬 모델은 요추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실제 움직임을 변경하고 제한하는 구조적인 요소나 신경 생리학적 요소는 감안하지 않고 있다 임상적으로  요추는 4도 정도의 자유도를 나타낸다 굴곡,신전,회전/외측 굴곡은 우측에서 그리고 회전/외측 굴곡은 좌측에서 나타난다 척추의 전반을 통하여 굴곡/신전은 머리나 몸통의 전방/후방 굴곡의 필수적인 한 부부인 반면, 회전/외측굴곡은 다른 움직임이 일어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