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벽을 이루고 있는 근육들에 대한 이해


복벽을 이루고 있는 근육들의 대한 이해


1.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2.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3.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4. 복직근(Rectus abdominis)
5. 추체근(Pyramidalis)
6. 백색선(Linea alba)
7. 복직근 덮개



1.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복횡근은 복근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다
광범위함 부착점을 가지 이 근육은 몸통을 횡으로 주행하며 상부와 중부 섬유는 복직근을 감싼 근막과 혼합되어 있으면서 건막복합체를 통해 중앙에 있는 백색선에 닿아있다

하부 섬유는 내복사근의 하부 섬유와 함께 서로 결합된 건을 형성하여 서혜 인대와 장골릉에 부착해있다

복횡근의 상부 섬유는 가장 두껍고 수평으로 주행해 있다
중부 섬유는 좀 덜 두꺼우며 하방 내측으로 향하고 그 아래 하부 섬유는 가장 얇고 가장 하방 내측으로 향해 주행한다

상부 영역은 흉곽의 안정화에 더 큰 역할을 하며  중부 영역은 흉요추 근막의 연결부를 통해 요추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하부 영역은 골반의 안정화 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2.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내복사근은 외복사근과 복횡근 사이에 있으며 장골릉 중간 라인의 전방 2/3부위와 서혜인대의 외측 2/3부위, 그리고 흉요추 근막의  외측 봉합선에서 발생한다

내복사근은 L3 이하의 흉요추 근막에 일정하게 부착해 있다

복횡근과 같이 내복사근은 상,중,하의 부위별로 섬유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내복사근의 상부와 중부 부위의 섬유는 상내측으로 향하고 있는 반면 가장 아래에 있는 섬유는 하내측 방향으로 위치해 있다.

내복사근도 부위 별로 그 두께의 차이가 있고 상부 섬유가 하부의 것보다 좀 더 두껍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내복사근이 복횡근 보다 하부 영역에서 좀 더 두꺼웠다,
내복사근은 아래 6개의 흉추와 1개의 요추 신경의 복가지에 의해 신경 공급을 받는다.



3.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복근 중 가장 큰 근육으로 전거근과 광배근의 섬유와 서로 맞물려 있다

상부와 중부 섬유는 하내측 방향으로 내려가 건막 복합체를 통해 복부의 중앙에 있는 백색선과 닿아 있는 복직근의 근막과 혼합해 있다

외복사근의 덮개가 복횡근의 배측 건막과 혼합해 있으므로 결국 흉요추 근막과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외복사근의 후방 섬유의 일정한 부착점은 L3 레벨 위  흉요추 근막의 외측순에 있다고 하였다 

외복사근의 두께가 부위 별에 따라 다르고 그 중 중간 영역이 가장 두껍다
중간 부위만 가지고는 두께를 비교하자면 외복사근이 복횡근 보다 두껍고 내복사근 보다 얇다

신경은  6개의 흉추 신경 복 가지에 의해 신경 공급이 되어진다.



4. 복직근(Rectus abdominis)

복직근은 치골릉과 치골 결절뿐 아니라 치골 결합에 발생되어지는 복부 중앙선 바로 외측에 긴 끈 형태를 띤 근육이다

복직근은 건막성을 가지고 치골 결합부까지 확장되어 맞물려 있음으로써 밀도 높은 섬유의 네트워크를 형성해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세 개의 수평으로 나 있는 건 밴드는 근육을 분리하며 외복사근에 부착점을 가지게 된다.
복직근은 내복사근과 외복사근은 물론 복횡근의 건막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 근막의 덮개로 싸여있다
복직근의 내측 경계면은 두겹의 건막과 연결되어 있는데 백색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은 6-7개의 흉추신경 복가지에 의해 공급을 받는다;



5. 추체근(Pyramidalis)

삼각형 모양의 추체근은 복직근의 하부 부위 전방에 위치하며 덮개로 싸여 있다

기저 부분은 치골릉과 치골 결합부에 부착해 있는 반면에 정점 부위는 배꼽과 치골 사이에서 중앙선 상에 있는 백색선과 혼합해 있다

T12 신경의 복가지인 늑하 신경에 의해 공급을 받는다



6. 백색선(Linea alba)

백색선은 전후방 규격에서 세개의 존으로 나뉠 수 있고 상하의 규격으로 볼 때 네 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전후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정렬되어 있는 섬유의 복측 존, 횡 섬유의 중간 존, 그리고 경사 섬유의 얇은 배측 존이 있다


상하측으로 콜라겐 섬유의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네 개의 다른 영역이 있다
 
1) 첫번째 또는 배꼽 상부 영역은 섬유 조합을 가지고 있다
 
2) 두번째 또는 배꼽 영역은 배꼽에 원형 콜라겐 선유 다발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백색선의 섬유 다발과 서로 교차 형태로 짜여 져 있다

3) 세번째 영역은 전환 존으로 불리는 데 그곳에서는 경사진 섬유가 두드러져 있고 횡섬유 층은 더 작다

이 영역은 복직근 배측 덮개의 섬유 다발이 있는 영역과 부합하며 복직근 복측 덮개에 영향을 미친다

4) 네번째 또는 하부 궁형 영역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고 배꼽 상위 영역의 섬유  방향과 똑같은 구조적 조합을 가지고 있다

여성은 배꼽 아래의 영역에서 경사 섬유에 비해 횡섬유가 더 많았으며 반면에 남성은 횡섬유 보다는 경사 섬유가 더 많았다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백색선의 가장 높은 탄성도는 종축 방향을 하고 있다



7. 복직근 덮개

외복사근과 내복사근 그리고 복횡근의 건막은 덮개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덮개가 복직근의 좌우 양쪽을 감싸 덮고 있다.

배꼽 상부 부위, 전환 부위, 하궁상 부위로 나뉜다

1) 배꼽 상부 부위에서 내측의 복측 복직 덮개는 주로 경사가 나 있는 섬유 다발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서로 섞여 있는 반면에 내측 배측 복직 덮개는 주로 횡으로 나있는 섬유를 포함한다

2) 전환존 (배꼽아래)에서는 복측 횡 다발이 복직근 덮개의 복측 면에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 전환 부위는 갑자기 발생하지 않고 겨우 몇 센티미터 정도 일어났다

3) 하궁상 부위에서는 복직근의 배측 덮개는 단지 약간의 가는 콜라겐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복측 덮개는 계속 점점 더 두꺼워지기 시작한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고등학생 영양제 틴맥스(Teenmax) 내돈내산 솔직 후기|틴맥스정 성분, 부작용, 먹어도 될까?

🧊여름밤 숙면템! 까사리빙 냉감패드 솔직 후기 & 구매 가이드🛏️

🧴 [내돈내산] 아이레놀 쌩얼크림 솔직 리뷰-“바르는 순간 민낯처럼? 2주 사용해보니 느껴진 진짜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