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거들(pelvic girdle) 테스트

골반거들 테스트는 골반거들의 변형을 조절하는 관절, 근막, 신경 시스템의 온정성을 검사하는 것입니다

골반거들(pelvic girdle)


1. 골반거들의 자세 테스트


골반거들 자세 테스트를 할 때는 시각적으로 만으로 판단을 하는것 보다 손을 직접적으로 촉진해서 테스트를 하는 것이 정보를 얻는 것에 신뢰도가 높습니다

1) 골반거들에서 무명골의 위치검사는 두손을 가능한 이용하여 시각적 관찰과 함께 운동성에서 나타나는 결과물을 비교해 봅니다.

2) 골반거들에서 치골결절의 위치검사는 한쪽 손의 손바닥을 좌우측 치골지를 촉진합니다.
 손바닥을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해가면서 치골결합부의 상하전후 위치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엄지나 검지로 치골지의 좌우측 상부를 촉진함으로써 운동성 검사 결과를 확인하고 시각적 판단과 운동성에서 나타나는 결과물을 비교해 봅니다.

3) 골반거들에서 하지로부터 오는 근육 불균형에 의한 영향을 위한  위치검사에서는 첫번째로 골반과 연결된 하지의 근육이 균형을 이루고 있을때에 골반의 중립 위치에 있고 이 위치에서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고관절을 굴곡 신전시키거나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관절을 굴곡시켜도 자세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고관절의 굴곡근의 고긴장성은 동측 무명골을 전방 회전시키고 골반내부 뒤틀림을 일으키고 고관절의 신전근의 고 긴장성은 역시 골반 내부 뒤틀림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4) 골반거들에서 흉요추로부터 오는 신경근막 불균형에 의한 영향으로 오는 위치검사는 우선 중립자세취해 앉은 자세에서 골반거들을 편안한 자세를 확인하고 이 테스트를 실행하기 전 대퇴골두를 관골구의 중앙에 중심을 잡은 채 고관절을 완전히 굴곡시킬 수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환자를 전방으로 굴곡시키되 흉요추 전체가 굴곡되도록 하고, 골반의 위치 변화를 체크합니다
서 있는 자세에서 전방굴곡을 시킬때 근육의 긴장도가 달라서 비대칭으로 보이는 것을 체크합니다.

5) 골반거들에서 무명골의 후방 기울기 위치검사에서는 무명골 좌우측을 비교할 때에 치료사의 손을 가능한 많이 활용을 합니다.

6) 골반거들에서 하지에서 일어나는 신경근막의 힘의 영향으로 위치검사는 환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골반내부의 뒤틀림을 확인하고 환자에게 두 무릎을 굽히도록 지시하고 요추에 비해 골반의 위치에서 나타나는 영향을 확인을 합니다. 
여기서 고관절의 굴곡근인 대퇴근막장근과 대퇴직근이 늘어나지 않는다면 골반은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허리는 신전이 되어집니다.

7) 골반거들에서 천골의 위치검사는 천골의 회전방향을 알아낼려면 천골의 좌우 하외측각의 전후 관계를 비교하면 됩니다. 
뒤쪽의 좌측 하부외측 각은 천골이 좌측으로 회전되어 있다는 것이고 그렇다면 생리학적으로 본다면 우측 무명골은 전방으로 회전되고 좌측 무명골은 후방으로 회전될 것인데 이것은 골반내부의 뒤틀림이 내측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

8) 골반거들에서 좌골결절의 위치검사는 좌골결절의 최 하단 부위에 있고 무명골이 전방으로 회전이 되었다면 좌골결절은 등쪽 머리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집니다.


2. 천장관절의 시스템 가동성과 주위 근육들

1) 천장관절의 관절 시스템의 가동성에서는 전후방면에서의 중립존에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무명골은 천골에 대해 관절의 상, 중, 하 모든 면에서 평행으로 글라이딩 움직임을 일어납니다.
무명골의 초기 움직임에 요구되는 힘의 양을 주의 깊게 지켜보면 이것은 시작하는 느낌인 것입니다.

일단 움직임의 저항이 증가되어지면 중립 존 끝부분에 도달한 것입니다.
천장관절의 세 개 모든면에서 이 움직임에 대한 양과 질을 그 반대편 부분과 비교해 보고 능동적인 가동성 테스트와 함께 결과물을 비교해 봅니다.

2) 골반거들에서 다열근의 촉진은 장골릉의 후방 내측부위에 부착해 있는 다열근의 긴장성은 천장관절의 상부 부위를 압박하는 힘의 백터를 일으킵니다.

근육다발의 방향이 직각방향으로 있고 상부쪽의 분절의 부착점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과긴장성의 다열근 L4 분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3) 골반거들의 좌미골근의 촉진은 천골의 하부 외측 각 부위 바로 밑 부부에서 좌미골근을 촉진하고 천결인대의 하부 궁상띠를 촉진하고 근육의 있는 긴장도와 트리거 포인터가 존재하는지 확인 할 수있습니다.

좌미골근은 누워 있는 자세에서도 촉진이 가능합니다. 우선 미골을 찾고 증가된 근육의 톤과 긴장성을 찾기위해 촉진하는데 이 근육은 미골의 외측부위에서 아래로 하부외측 각의 아래까지 걸쳐 있습니다.

4)골반거들에서의 이상근 표면의 촉진하는 것은 S2 - S4사이의 천골 외측 부위에서 이상근을 촉진을 할 수 있는데 천결인대의 하부궁상 띠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걸쳐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고등학생 영양제 틴맥스(Teenmax) 내돈내산 솔직 후기|틴맥스정 성분, 부작용, 먹어도 될까?

🧊여름밤 숙면템! 까사리빙 냉감패드 솔직 후기 & 구매 가이드🛏️

🧴 [내돈내산] 아이레놀 쌩얼크림 솔직 리뷰-“바르는 순간 민낯처럼? 2주 사용해보니 느껴진 진짜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