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 관절을 압박하는 근육을 이완 시키는 테크닉
근육의 고장성이 나타났을 때 천장관절을 압박하고 수동적 움직임과 능동적인 움직임 모두 제한을 가하는 핵심적인 근육은 좌미골근, 이상근, 다열근의 표면섬유, 척추기립근입니다
1. 좌미골근은 천장관절의 하단부위를 압박하고 무명골과 천골 사이에서 글라이딩의 움직임을 막아주고 무명골에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압박이 가해질 때 무명골의 후방 회전을 일으키는 축을 형성 하고 있습니다.
2. 이상근은 천장관절의 세 면을 압박하면서 관절의 글라이딩 움직임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3. 다열근의 표면섬유와 척추기립근은 천장관절 상단 부위를 압박하고 무명골과 천골 사이에서 글라이딩 움직임을 막아주고 무명골에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압박이 가해질 때에 무명골의 전방 회전을 일으키는 축을 형성 합니다.
좌미골근
시작 자세와 이완 자세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고관절과 무릎을 굽힌 채 눕고 치료사는 발쪽에 있는 손의 둘째와 셋째 손가락으로 미골의 바로 외측과 천결인대의 하부 원형 밴드 아래 부위에 있는 좌미골근을 촉진하고 좌우 교대로 천골의 하부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찰을 합니다.
그러면서 근육의 긴장된 위치를 찾아내서 손바닥으로 좌골결절의 외측부위를 촉진하고 머리 쪽에 있는 손으로 장골을 촉진합니다.
근육의 긴장도를 줄이기 위해 좌골에서 미골쪽으로 부드러운 압박을 가합니다.이 근육의 자세 이완을 위해 무명골을 전방으로 약간 회전을 시켜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이 관절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근육의 긴장도가 감소되기를 기다리면 됩니다.
좌미골근을 위하여 지각을 동반하는 이완술을 결합하여 만든 지각을 동반한 이완술은 치료사가 좌측 손가락으로 환자의 좌측 좌미골근을 모니터닝 하면서 손바닥 뒤꿈치로 좌골을 미골에 가까워지도록 밀어서 근육 섬유를 단축 시키는 것입니다.
치료사의 우측 손으로는 장골을 이용하여 무명골의 움직임을 주면서 좌미골근의 이완을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지각의 첨가와 환자에게 큐 신호
근육의 안으로 압박의 수기의 큐 사인을 적용하면서 환자에게 이완을 할 수있도록 큐 사인을 줍니다. 좌골을 넓힌다는 느낌으로 또는 꼬리뼈가 떠 있는 상태를 이미지화 하라고 이야기 해줍니다.
환자들이 이완하는 방법을 느끼면서 좌골미근이 이완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근육 길이 회복과 이완 이후
신경 구성요소가 이완되면 무명골을 외전시킴으로써 근육의 길이는 늘어납니다. 이완을 더 하기 위해서는 말을 계속하면서 어떤 고장성이 재발하는지 찾아내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합니다.
천장관절의 수동적인 가동범위에 대한 재점검
테크닉이 성공적으로 적용이 되었다면 무명골은 천골에 대해 수평으로 글라이딩 움직임을 일어킬 수있습니다. 천장관절의 하단 부위는 더 이상 압박을 받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그 외 이상근 또는 다열근의 표면섬유에 이완이 천장관절의 완전한 가동범위를 위해서 필요합니다.
드라이 니들링과 잔여 고장성
남아 있는 좌미골근의 고장성의 문제는 드라이니들링 아니면 IMS로 접근해 볼 수 있습니다.
가정용 실습
작은 공은 좌미골근의 이완을 촉진 시키는데 충분한 효과가 있는 도구입니다. 다리를 의자 위에 올려놓고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작은 공을 미골 바로 외측 긴장되어 있는 부위나 고장성 있는 부위에 갖다 놓고 환자는 클리닉에서 했던 근육 이완을 촉진시키는 큐 사인에 관하여 생각을 하면서 이완을 시키도록 교육을 합니다.
이상근
시작 자세와 자세 이완
환자는 다리를 굽힌 채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고 치료사는 한 손으로 천골의 바로 외측 이상근을 촉진하고 천결인대에서 상방에서 하방으로 촉진을 합니다.
근육의 긴장도 부위를 찾아서 부드럽게 압박을 가하고 대퇴골의 회전과 외전을 주면서긴장도를 줄여 줄려구 합니다.
이상근이 고장성이 있을 경우 고관절의 가동 범위와는 상관없이 외회전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므로 이상근의 단축되면서 대부분의 대퇴골의 외회전되과 다양한 고관절 굴곡와 외전이 나타나고 가장 많이 양의 이완을 일으키는 자리에서 유지하고 유지합니다. 느낌이 부드러워질 때 까지 기다립니다.
지각의 첨가- 환자에게 큐 신호
이상근 안을 압박의 수기의 큐 사인을 적용하면서 환자에게 이완을 시키라고 교육을 합니다. 고관절의 압박을 감소 시키기 위해 이미지화 시키라 교육을 합니다.
환자는 이완 시키는 방법을 알아감으로 골반과 고관절의 압박이 감소하고 이상근이 부드러워지는 것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근육 길이 회복- 이완이후
신경 구성 요소가 이완되면 대퇴골을 내회전 굴곡/ 내전 시키면서 이상근 길이를 늘립니다. 이완을 좀 더 하기 위해 환자에게 독려하고 고장성이 재발 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합니다.
천장관절의 수동적인 가동 범위에 대한 재점검
테크닉이 성공적이었으면 무명골은 천골에 대해 수평 글라이딩 움직임이 일어날 것인데 관절 모든 부분이 더 이상 압박이 받을 일이 없게 됩니다.
가정용 실습
작은 공으로 이상근의 이완을 촉진 시키기 위해 충분한 역할을 할 수있습니다.
자세는 좌미골근과 동일하며 이상근의 위치에만 공을 잘 놓아 주면 되고 환자에게 규 사인을 생각하면서 고관절이 굴곡된 상태에서 내회전과 내전 할 때 움직임이 호전된 능력에 이완의 효과를 점검하면 됩니다.
다열근의 표면섬유
다열근의 표면섬유의 고장성은 요추의 여러분절뿐만 아니라 천장관절의 상단 부위를 압박을 합니다. 다열근의 표면섬유에서 고장성이 있는 근육 다발을 만지는데 요추의 가장 윗 부분까지 따라 올라가면 다열근의 고장을 위 아래에 찾을 수있습니다.
시작 자세- 자세 이완
환자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위쪽이 이완되게 하고 고장성이 있는 다열근이 있는 레벨까지 흉추를 회전시켜 내리고 요추 분절에 기술을 가합니다.
치료사는 상부 측 손으로 환자의 상지를 돌려 줌으로써 흉추를 지지하고 조절합니다.
환자의 상부에 놓여 있는 고관절과 무릎을 굴곡시키고 발은 아래 무릎 되편에 오도록 합니다. 다열근의 상부섬유 안에 있는 고장성이 있는 근육 다발을 찾아 긴장된 부위를 찾아냅니다. 허리를 가슴과 골반 기준으로 그사이에서 측면굴곡시킴으로써 다열근의 다발을 단축시켜 고장성 근육 다발이 양 끝을 근접하게 만들어 관절과 근육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긴장도가 감소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다열근이 부드러워 지는 느낌 까지 기다립니다
지각의 첨가 - 환자에게 큐 신호
다열근의 표면섬유를 이완 하기 위해 환자에게 이렇게 큐 사인을 줍니다. 내 손가락이 당신의 등 근육 안으로 밀고 들어 갈 수 있도록 하라 척추를 테이블 위에 완전히 이완 시키도록 하든지 또는 해먹 처럼 매달려 있게 시도해 보라, 골반과 흉곽 사이의 공간을 열어 젖힌다고 생각하라고 큐 사인을 줍니다.
이 근육이 더욱 부드러움이 느낄 수 있을 때 까지 반복 학습을 시키며 실행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천장관절의 수동적인 가동범위에 대한 재점검
기술이 성공적이었다면 무명골은 천장관절에 대해 수평으로 움직임이 자유로우며 관절상단에 압박이 사라질 것입니다.
요추의 특정 가동성에서 제한이 일어났던 부분은 완전한 가동성으로 회복되고 회복이 않된다면 근본적인 관절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가정용 실습
환자가 엎드려 기어가는 자세나 엎드린 자세에서 다열근의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 허리의 가동범위의 전방굴곡과 측면굴곡 동작을 익혀야 하고 골반/고관절/요추의 분리를 촉진 시키기 위해 선 자세에서 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를 공 위에 엎드려 있도록 한 후에 다열근의 이완 촉진 시키고 요추를 늘리기 위해 구두의 큐 사인과 촉각을 이용합니다.
이 자세는 척추 기립근의 자가 이완을 위한 효과적인 자세가 되기도 합니다.